현재 이혼 중입니다결혼 후 경단녀로 살았으며 이번에 아르바이트를 하게되어 아직 월급은 받지 않았고 일하는 곳은 어차피 남편 밑으로 피부양자로 들어가있고해서 사대보험 대신 프리랜서로 요청하여, 가능한지 잘모르겠다고 프리랜서로 넣어 보시겠다고 하셨어요 안되면 사대보험 들어가는 걸로요저도 제가 어찌되있는지 모르는데 남편이 저보고 사장님한테 말해서 사대보험 넣어달라해서 연말정산 가져가라고 하더라구요 말을 참ㅎㅎ 저보고 피부양자에서 나가달라는건데 전 대꾸 안했어요듣기론 만 30세 이상은 누구 밑으로 들어갈수도 없다하고 아직 이혼중이라 서류 정리도 안됐으면 제가 사대보험이 아니라 프리랜서로 일하게 될경우 전 그대로 피부양자로 있게되나요? 아님 지역 가입자로 나와서 국민연금이 많이 나올까요? ^^ 그리고 아이들이 있는데 지역 가입자로 있으면서 피부양자로 아이들을 제가 데리고 올수있나요? 그게 아니라면 제가 사대보험 들어가고 아이들을 제 밑으로 피부양자로 데리고 오는게 낫나요?제가 이런쪽으로 잘 몰라서 말을 이상하게 한거 같은데 누군간 잘 알아봐주시리라 믿어요ㅠㅠ
현재 이혼 중입니다
→ 이혼 절차를 진행 중이라는 뜻인가요?
저도 제가 어찌되있는지 모르는데
→ 건보공단 홈페이지에 간편 로그인 후... 자격득실 확인서를 확인해 보세요.
본인의 건보 자격이 나오니까요.
남편이 저보고 사장님한테 말해서 사대보험 넣어달라해서 연말정산 가져가라고 하더라구요 말을 참ㅎㅎ 저보고 피부양자에서 나가달라는건데 전 대꾸 안했어요
→ 님이 안나가고 버텨도... 남편이 그냥 피부양자 자격상실 신고해 버리면 됩니다.
듣기론 만 30세 이상은 누구 밑으로 들어갈수도 없다하고
→ 형제 자매끼리 피부양자 등재시에만 나이 조건이 있습니다.
아직 이혼중이라 서류 정리도 안됐으면 제가 사대보험이 아니라 프리랜서로 일하게 될경우
전 그대로 피부양자로 있게되나요? 아님 지역 가입자로 나와서 국민연금이 많이 나올까요? ^^
→ 부모가 직장가입자라면... 부모의 직장 건강보험에 피부양자 등재하는 방법이 있고요.
이혼 전까지는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겠지만
님이 버텨도... 남편이 피부양자 자격상실 신고해 버리면 그만입니다.
위 경우가 아니면... 님이 4대보험 가입하면 직장가입자, 가입 안하면 지역가입자 자격이 됩니다.
그리고 지역가입자는 2025년도 소득을 2026년 5월에 종소세 신고하기 때문에
당장은 지역가입자가 되더라도... 국민연금은 납부예외, 건보료는 재산이 없다는 전제 하에
최저 지역건보료 22,340원 나올 겁니다.
그리고 2025년 소득을 기준으로 2026년 11월부터 지역 건보료를 다시 부과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있는데 지역 가입자로 있으면서 피부양자로 아이들을 제가 데리고 올수있나요?
그게 아니라면 제가 사대보험 들어가고 아이들을 제 밑으로 피부양자로 데리고 오는게 낫나요?
→ 피부양자 제도는 직장가입자에게만 존재하는 제도입니다.
지역가입자에게는 해당 제도가 없습니다.
답변 채택으로 인하여 지급 받는 해피빈과
질문자께서 추가로 [N 포인트 선물]을 해주시면
소년소녀 가장 돕기에 기부를 하니...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